로봇과 자율주행, XR(확장현실)관하여 수요가 증가할수록 카메라 모듈이 필요합니다. 3D 깊이 인식 기술인 Stereo, ToF, SL 방식을 다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 카메라 모듈 업체 나무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업현황
나무가 시가총액은 2,681억 원이고, 유동비율은 65.25%입니다. 주요 주주는 드림텍 외 1인 33.97%, 위드원투자조합 60호 6.54% 입이다. 최대주주인 드림텍은 스마트폰 인쇄회로기판모듈 및 각종 모듈과 부품업체입니다.
제품소개
스마트폰카메라, 3D센싱 카메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과 OIS (손떨림보정) 액츄에이터 등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은 삼성정자 M시리즈 후면 1억 화소 AF 카메라 수주를 확보하고, 2023년 출시될 플래그십은 전시리즈 후면 카메라 공급할 전망입니다.
2022년부터 글로벌 IT업체와 XR기기의 ToF 카메라 모듈을 공동 개발 중입니다. ToF 모듈은 일반 RGB 카메라 보다 단가가 높아 제룸 물량 공급이 본격화되면 스마트폰향 카메라 모듈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매출비중 및 매출처
매출비중은 플래그십 47%, 고화소 36%, 저화소 18%입니다. 2020년 이후 플래그십과 고화소 카메라 공급이 확대되고 수율안정화로 수익성이 개선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년 3분기 기준 삼성전자향 매출이 99%입니다. 나무가의 핵심 고객사가 삼성전자여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삼성전자 점유율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17년 소니 아이보이향 ToF 3D 센싱 모듈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2019년 삼성전자 플래그십향 ToF 모듈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1년 삼성전자 로봇청소기에 적용되는 3D 스테레오 카메라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글로벌 미주 자율주행 업체로 ToF 인캐빈 카메라 시제품을 공급받고 있은 것은 매출은 미미하지만 고부가 산업인 전장용 시장 진출에 의미가 있습니다.
재무분석
2023년 2월 16일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공시를 하였습니다.
나무가 매출액은 5,193억 원으로 3.3%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323억 원으로 41% 증가하였습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유사하나 원가절감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재무상태표
부채비율은 2022년 3분기 기준 81.55%이며, 유동자산증가율은 47.03%입니다.
현금흐름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은 123.6%,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은 53.6%,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은 99.7%입니다.
차트
나무가 주가 차트입니다.
결론
삼성전자의 중저가형 스마트폰 갤럭시 A34, A54 라인업 공개로 활성화를 기대합니다. 3D 센싱 카메라 모듈은 물체 간 거리를 판별하는 것으로 로봇산업, 자율주행에도 핵심부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미래먹거리로 XR관련 사업 본격화에 구글과 퀄컴과 XR 동맹을 맺은 점도 기대해 볼 만합니다.
참고자료는 한국 IR리서치의 '국내 유일 3D 센싱 기술 모두 보유한 카메라 모듈 업체' 나무가와 네이버증권을 바탕으로 작서 하였고 개인적인 공부이며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님을 밝힙니다.
'종목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라유텍 인터배터리 2023(feat. SK 13.66%보유) (0) | 2023.03.17 |
---|---|
CRMA 유럽핵심원자재법과 폐배터리 (0) | 2023.03.16 |
스마트팩토리관련주 엠투아이(feat. 국내최초 HMI출시) (0) | 2023.03.15 |
스마트팩토리관련주 코닉오토메이션(feat. 쿠팡, 에코프로비엠) (0) | 2023.03.13 |
유일로보틱스의 협동로봇 및 스마트팩토리 (0) | 2023.03.11 |
자율주행관련주 로봇청소기1위 에브리봇 (0) | 2023.03.11 |
협동로봇관련주 푸른기술과 현대위아 (0) | 2023.03.09 |
자율주행로봇 관련주 유진로봇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