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탑스는 베어로보틱스의 서빙로봇을 위탁생산한 경험을 바탕을 삼성전자 위탁제작의 기술력도 인정받아 웨어러블 로봇 생산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현재 미국의 베어로보틱스의 서빙로봇의 독점 위탁생산은 확정이 된 인탑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의 베어로보틱스의 서빙로봇은 1대당 가격은 2,000만 원 내외여서 인탑스에게는 1대당 500만 원 수준의 매출을 올릴 수 있습니다. 2022년까지 연간 5,000대를 생산했습니다.
사업소개
주요 사업은 IT디바이스, 가전제품 조립, 자동차 부품, 금형, 유통 및 서비스입니다. IT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의 내·외장 휴대폰 케이스, 안테나 부품, 차폐 부품이고, 가전제품은 냉장고, 세탁기의 내·외장재를 생산합니다.
매출비중은 IT디바이스 46.6%, 금형 및 기타 38%, 자동차부품 8.1%, 가전제품 조립 7%입니다.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이며, 생산거점은 중국, 베트남, 미국입니다. 국내는 안양과 구미에 사업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곳은 인탑스 구미 공장입니다.
스마트폰 케이스 사업
삼성전자의 갤럭시 A와 M시리즈의 케이스를 만들고 있고, A시리즈는 단일 모델 중 출하량이 제일 많아 안정적인 인탑스 실적으로 이어졌습니다.
리스크요인은 삼성전자가 베트남의 생산비중을 줄이고, 인도와 인도네시아로 생산비중을 늘릴 계획이라는 것도 참고하셔야겠습니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적은 인도를 공략하는 것이 미래를 위해서는 맞는 계획인 것 같습니다.
기업현황
시가총액은 6,613억 원이며, 유동비율은 55.86%입니다. 주요 주주는 김재경 외 5인이 37.91%, 자사주 6.23% 보유 중입니다.
차트
인탑스 주가 차트입니다. 최고가 44,300원이고, 최저가 15,450원입니다.
매출액
2023년 2월 13일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인탑스 실적 공시를 하였습니다.
● 매출액 : 2021년 1조 520억 원, 2022년 1조 1,141억 원 → 전년대비 5.9% 증가
● 영업이익 : 2021년 875억 원, 2022년 1,420억 원 → 전년대비 62.2% 증가
증가요인은 매출액은 고객사 수주증가와 신사업 성장이고, 영업이익은 수율개선 및 원가율 감소에 있고 신사업 성장이 손익증가에 기여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재무분석
재무상태표
인탑스 2022년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24.37%이며, 유동자산증가율은 7.83%입니다.
현금흐름표
2022년 3분기 기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48.6%이고,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39.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59.9%입니다.
삼성 웨어러블 로봇 생산기대
인탑스는 미국 베어로보틱스의 서빙로봇을 위탁생산을 독점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삼성의 웨어러블 로봇 초기 연구단계에 참여했던 이력과 국내에서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공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가능성을 가지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결론
인탑스는 스마트폰의 중저가형 휴대폰케이스는 지금까지는 안정적인 매출을 보였지만, 삼성전자의 베트남 비중 축소가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신성장은 로봇 위탁생산에서 2023년 출시예정인 삼성 웨어러블 로봇 생산 기대와 베어로보틱스의 신규 서빙로봇도 2023년 예정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참고자료는 그로쓰리서치, 네이버증권, 전자공시스템입니다.
'종목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모그린텍 2022년 영업이익 400.6%증가 (0) | 2023.03.23 |
---|---|
디자인하우스 관련주 에이디테크놀로지 (0) | 2023.03.21 |
디자인하우스 관련주 가온칩스 (0) | 2023.03.20 |
에코프로 불공정거래 의혹 해명 (0) | 2023.03.19 |
티라유텍 인터배터리 2023(feat. SK 13.66%보유) (0) | 2023.03.17 |
CRMA 유럽핵심원자재법과 폐배터리 (0) | 2023.03.16 |
스마트팩토리관련주 엠투아이(feat. 국내최초 HMI출시) (0) | 2023.03.15 |
스마트팩토리관련주 코닉오토메이션(feat. 쿠팡, 에코프로비엠)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