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T도전재를 만드는 나노신소재의 주가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CNT도전재는 2차 전지 성능을 향상하는 것으로 나노신소재는 국내 유일 양극재와 음극재 CNT를 모두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중 음극재 CNT도전재는 나노신소재 뿐입니다.
나노신소재
기업소개
나노신소재는 배터리, 디스플레이, 반도체, 태양전지 등 첨단소재 제조회사입니다. CNT도전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태양전지, 반도체 웨이퍼 연마 공정에 사용되는 소재를 생산합니다.
CNT도전재 란
CNT(탄소나노튜브)는 탄소원자가 전기가 잘 통하는 것으로 2차 전지의 전기를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CNT도전재의 양극재도전재는 다중벽이고 음극재도전재는 단일벽입니다.
CNT도전재 나노신소재
나노신소재는 음극재도전재인 단일벽 CNT 분산재 독점기업으로 실리콘 음극재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생산이 증가할수록 독점이 가능한 기업입니다. 실리콘음극재는 충전시간 단축과 에너지밀도 개선을 위해서 2차 전지에 사용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 SK온이 실리콘 음극재 사용량을 늘리면 음극재 품질 향상하는 첨가제인 단일벽 CNT 분산재도 늘어날 것입니다.
설비투자
나노신소재는 2022년까지 국내는 연간 6,000톤, 중국 7,000톤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2024년 1월 양산 목표로 미국, 유럽, 일본 공장을 설립을 계획 중으로 있습니다. 앞으로 2022년 5,000톤, 2023년 15,000톤, 2024년에는 25,000톤까지 생산능력이 확대될 것입니다.
건식 전극 공정
테스라가 4680 원통형 배터리를 직접 생산에 원가를 낮추기 위해 건식 전극 공정을 적용하여 2025년에는 저렴한 배터리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바 있습니다. 테슬라의 멕시코 기가 팩토리 공장이 2025년에 완공이 되면 테슬라의 대량생산에 가능해진다면 건식 전극 공정에는 고체 도전재가 필수적이라 나노신소재가 주목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테슬라와 직접 관련된 움직임은 없습니다.
2022년 매출 성장
나노신소재는 2021년 대배 매출액은 30.8% 증가한 799억 원이고, 영업이익은 194% 증가한 168억 원이라고 공시했습니다.
기업현황
나노신소재 시가총액은 1조 5,700억 원이며, 유동비율은 70.26%, 외국인 지분율은 5.96%입니다. 주요 주주는 박장우 외 3인 27.43%, 국민연금공단 6.27%, 자사주 2.22% 보유 중입니다.
결론
CNT도전재와 건식 전극 공저의 나노신소재는 2차 전지의 방향성에 맞는 기업으로 전기자동차의 핵심인 충전시간을 늘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가장 중요한 진입장벽이 높은 독점적 지위를 가진다는데 가장 주목받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개인적인 기록으로 매수매도 추천이 아님을 밝힙니다.
'종목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성코퍼레이션 주가 및 실적 전망 (0) | 2023.10.25 |
---|---|
에스앤에스텍 배당금 주가전망 및 펠리클 (feat.삼성전자 8% 지분투자) (0) | 2023.05.03 |
엘앤에프 주가전망 및 현대차그룹 협력사 선정 (0) | 2023.04.19 |
모델솔루션 GPT와 스페이스X 및 주가 (0) | 2023.04.07 |
황화리튬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이수화학 (0) | 2023.03.25 |
디자인하우스 관련주 탑픽(feat.달란트투자) (0) | 2023.03.24 |
아모그린텍 2022년 영업이익 400.6%증가 (0) | 2023.03.23 |
디자인하우스 관련주 에이디테크놀로지 (0) | 2023.03.21 |